안녕하세요. 5차 재난지원금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 봅시다.
전국민 88%에게가 1인당 25만원씩 상생 국민지원금을 받게 되었습니다. 그 외 소상공인을 위한 희망회복자금은
증액되었고, 신용카드 캐시백인 상생소비지원금은 감액 되었습니다.
5차 재난지원금은 종류는 3가지 입니다.
1) 코로나 상생지원금 : 약 2,034만 가구가 지원 받을 것으로 추정되며, 재원 소요는 11조원 입니다.
2)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: 코로나 방역조치로 집합금지 제한조치를 받았거나 경영위기 업종에 해당하는 소상공인,
소기업 113만 명에게 지급하는 재난지원금 입니다.
3) 상생소비자지원금 : 정부의 5차 재난지원금 3종 패키지 중 하나로, 카드 사용액 증가분의 일부를 캐시백으로 환급하는 한시적인 제도다.
지원금 종류를 하나씩 자세히 알아봅시다.
1-1. 코로나 상생지원금 적용표
구분 | 내용 |
지원대상 | 소득하위 80% |
특례적용 | 1인 가구 : 월 소득 417만원 수준까지 지원 맞벌이 부부 : 가구원 수를 +1명 추가 적용 |
재산기준 | 재산세 과세표준 9억 원 이하 금융소득 2천만원 이하 등 |
지원금액 | 1인당 25만원 |
지급방식 | 신용, 체크, 선불카드, 지역 상품권 |
지급시기 | 8월 말 |
1-2. 소득 하위 80% 기준
가구수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
월 소득 | 4,170,000원 | 5,559,000원 | 7,717,000원 | 8,777,000원 |
연 소득 | 5,000만원 | 6,671만원 | 9,260만원 | 1억532만원 |
*그 외 기준 중위소득 180%의 5인 가족은 월10,363,000원(연1억2,436만원), 6인 가구는 월11,931,000원(연1억4,317만원)
저소득층은 추가 국민지원금 즉,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족 등 저소득층 296만 명에게 1인당 추가
10만원을 지급합니다. 즉, 이렇게 되면 소득하위 80%에게 지급하는 25만원에서 10만원을 더한 총 35만원을 받게 된다.
저소득층 추가 국민지원금은 별도 신청 없이 8월 24일에 입금된다. 계좌 정보가 없는 일부 차상위 계층 등은 별도 안내 후 지급 예정입니다.
2.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
2020년08월16일~2021년07월06일까지 단 1회라도 집합금지 조치를 받은 소상공인과 19년 이후 1개 반기라도 매출 감소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피해규모 등을 반영하여 총8개 구간으로 나눠 최대 2,000만원~ 최소 300만원을 지원 합니다.
2-1) 영업제한에 따른 8개 구간
구간 | 매출 기준 | 매출 비교 |
1 | '19년 | '20년 |
2 | '19년 상반기 | '20년 상반기 |
3 | '19년 하반기 | '20년 하반기 |
4 | '19년 상반기 | '21년 상반기 |
5 | '20년 상반기 | '21년 상반기 |
6 | '20년 상반기 | '20년 하반기 |
7 | '19년 하반기 | '20년 상반기 |
8 | '20년 하반기 | '21년 상반기 |
*총8개 구간 : 최대 900만원~최소200만원 지원
2-2) 경영위기에 따른 8개 구간
구분 | 매출 4억원 이상 |
매출 4억~2억원 |
매출 2억~8천만원 |
매출 8천만원 미만 |
물량 (만개) |
|
집합 금지 |
장기 | 2,000만원 | 1,400만원 | 900만원 | 400만원 | 20 |
단기 | 1,400만원 | 900만원 | 400만원 | 300만원 | ||
영업 제한 |
장기 | 900만원 | 400만원 | 300만원 | 250만원 | 86 |
단기 | 400만원 | 300만원 | 250만원 | 200만원 | ||
경영 위기 |
△60% 이상 | 400만원 | 300만원 | 250만원 | 200만원 | 17 |
△40~60% | 300만원 | 250만원 | 200만원 | 150만원 | ||
△20~40% | 250만원 | 200만원 | 150만원 | 100만원 | ||
△10~20% | 평균 50만원 | 55 |
1. '19년 매출과'20년 매출 중 개별 소상공인에게 유리한 기준 적용
2. 장.단기 기간 구분은 지자체 시행 방역조치에 대한 확인 후 사업공고시 안내(8월 말)
3. 국회에서 구간이 신설됨에 따라 적정단가를 면밀히 검토하여 사업공고시 안내예정
3. 상생소비지원금
지원 내용은 올해 2분기 월평균 카드사용액 대비 3% 이상 증가한 월 카드사용액에 대하여 10%를 캐시백으로 환급해 준다. 일반적으로 하반기에 지출 평균이 2%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였다.
상생소비지원금으로 받을 수 있는 1인당 월별 10만원 한도이며, 최대 캐시백 한도는 30만원이다.
3-1) 카드 캐시백 예시
* 2분기 월평균 카드사용액이 100만원 일 경우를 예시로 합니다.
예시 | 7월 | 8월 | 9월 | 총 캐시백 |
카드사용1 | 110만원 | 150만원 | 200만원 | 16만원 지원 |
(초과분의 10%) | (1만원) | (5만원) | (10만원) | |
카드사용2 | 200만원 | 200만원 | 200만원 | 30만원 지원 |
(초과분의 10%) | (10만원) | (10만원) | (10만원) | |
카드사용3 | 200만원 | 300만원 | 300만원 | 30만원 지원 |
(초과분의 10%) | (10만원) | (15만원) | (20만원) |
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기간 체크 해드리겠습니다.
국민지원금은 8월말, 소상공인 8월17일, 캐시백 9~10월 지급 입니다.
이와 같이 5차 재난지원금이 시행될 예정이니, 참고하여 모두 재정에 도움이 되길 빕니다.
감사합니다.
'2021청년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(신청방법 및 기간) (1) | 2021.08.03 |
---|---|
2021 청년창업지원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내 희망상가 제공 (1) | 2021.08.01 |
2021 알뜰교통카드로 교통비를 아끼자(신청방법 및 후기) (0) | 2021.08.01 |
2021 희망키움통장Ⅱ 신청방법 및 기간 (0) | 2021.07.31 |
2021 청년 사회적 주택(청년 사회주택 공급 활성화) 신청 방법 (0) | 2021.07.30 |